중이염은 귀 고막의 안쪽인 “중이”라는 곳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일으키는 병을 말합니다. 귀의 구조는 크게 바깥 귀, 가운데 귀(중이), 안쪽 귀로 구분하는데 고막 바로 안쪽에 위치하는 곳이 중이입니다. 중이의 구조 중 ‘이관’이라는 부분은 코와 연결되어 코와 귀속의 압력을 조절해 주고 있습니다.
2어린이들에게 왜 중이염이 잘 발생할까?
특히 아기들은 면역이 약하여 감기가 자주 걸릴 뿐 만 아니라 성인에 비해 이(耳)관이 짧고 넓으며 수평적이어서 코에서 있던 병균이 귀 안으로 잘 전달되어 감기에 걸리면 중이염에 잘 걸리게 됩니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이관의 구조는 점차 좁아지고 길어지기 때문에 중이염의 빈도도 줄어듭니다.
3중이염 증상
42주 정도 항생제 복용으로 치료
급성 중이염 치료를 해주지 않아도 70%정도에서 우리 몸에 있는 면역물질에 의해서 1-2주내에 자연 치료 되기도 하므로 휴식과 안정이 필요합니다.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항생제로 10-14일간
치료를 해주어야 하며 진통제, 해열제, 국소 열 치료 등으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약을 복용한 후, 증상이 바로 좋아졌다고 해서 약을 더 이상 먹지 않는 경우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해진 기간 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며, 치료가 끝난 경우라 할지라도 2주 후에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5소아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유병을 오래 빨게 하지 말며 누워서 우유병을 빠는 것은 피하도록 합니다.
중이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가 담배 연기이므로 아이들 근처에서 절대로 담배를 피우지 않도록 합니다.
비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 걸리면 중이염에 걸리기 쉬우므로 평소에 잘 치료받도록 합니다.
독감에 걸리면 중이염이 잘 생기므로 독감 예방접종을 하도록 합니다. (폐구균 예방 접종을 하면 중이염의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